우리 나라 민속유희놀이의 특징

우리 나라 민속유희놀이의 특징

우선 민속유희놀이의 내용과 방법이 건전하고 문화적이라는데 있다.

그것은 우리 나라의 민속놀이에 일찌기 문명시대에 들어선 우리 민족의 고상하고 문명한 생활과 건전하고 락천적인 생활기풍이 그대로 반영되여있는것과 관련된다.

민속유희놀이의 내용과 방법이 건전하고 문화적이라는것은 민속유희놀이의 대부분이 어린이들의 체력단련과 지능계발에 도움을 주며 흥겹고 재미있는 정서적 및 오락적요구를 충족시켜줌으로써 그들의 문화정서생활에 실질적으로 이바지할수 있게 구성되여있다는것이다.

숨박곡질, 수박따기, 꼬리잡기, 제기차기, 썰매타기, 각시놀이와 같은 놀이들은 서로가 마음을 맞추어가며 집단이 무엇인가를 리해하게 하고 단합과 화목의 힘이 어떤것인가를 알게 하며 동심세계의 정서를 마음껏 체험할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놀이의 종류가 많고 다양하며 누구나 다 헐하게 배우고 즐겁게 놀수 있다는데 있다.

우리 나라 민속놀이는 다종다양할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헐하게 배우고 즐겁게 놀수 있는것이 특징적인데 윷놀이만 놓고보아도 어린이로부터 어른들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다 헐하게 배우고 즐겁게 놀수 있다.

이런 종류의 놀이로는 산가지놀이, 그림자놀이, 돌가위보놀이, 공차기 등 매우 많다.

다음으로 적지 않은 종류의 놀이들이 자연현상의 과학적인 원리들을 참작하여 창조되였다는데 있다.

우리 인민들은 자연현상의 리치들을 참작하여 많은 민속놀이들을 창조하였다.

가을과 겨울에 부는 바람의 힘을 리용한 연띄우기, 겨울에 미끄러운 얼음판이나 눈판을 리용한 썰매타기, 팽이치기, 줄의 탄력과 원심력을 리용한 그네뛰기, 줄넘기, 공중에 솟아오른 물체가 땅에 떨어지는 원리를 리용한 제기차기 등은 모두가 자연현상의 과학적인 원리들을 알고 그를 리용하여 창조한것들이다.

다음으로 흥겹고 락천적이며 정서적인것이라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