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dbook_logo
封皮-兵學指南 _0
封皮-兵學指南 _1
封皮-兵學指南 _2
封皮-兵學指南 _3
封皮-兵學指南 _4
封皮-兵學指南 _5
封皮-兵學指南 _6
封皮-兵學指南 _7
封皮-兵學指南 _8
封皮-兵學指南 _9
封皮-兵學指南 _10
[基本题目] 兵學指南 [卷册数] 5卷1册 [翻译题目] 병학지남 [发行年月日] 1787 [版本] 목판본 [本文语言] 국한문 [行字数] 중자11행23자 [父母] 상하내향4판화문흑어미 [半框大小] 22.6×18 [框廓] 사주쌍변 [装帧] 선장 [书本大小] 36.3×23.3 [纸张质量] 백지 [形式注记] 두주
[解除]

조선봉건왕조시기의 무관 최숙이 편찬한 군사관계책. 모두 5권 1책으로 되여있다. 제1권은 기고전법, 기고총결의 두개 편목으로 나뉘여있다. 기고전법에서는 호포, 호적, 나팔, 소라, 바라, 종, 각종 기발 등에 의한 신호규정과 그 사용법을 취급하였고 기고총결에서는 우의 여러가지 신호를 종합적으로 사용하는 실지행동동작을 설명하였다. 제2권에서는 《영진정구》라는 편목을 달고 대렬의 편성과 호령에 의한 대렬의 행동, 전투를 진행할 때의 진의 편성과 조직 및 각 전투대렬의 행동 등을 낮과 밤의 두 경우로 나누어 쓰고있다. 제3권에서는 《영진총도 상》이라는 표제를 붙이고 대렬편성법, 여러가지 신호법을 비롯하여 영진의 배렬과 배치방법을 52매의 그림으로 설명하였고 제4권에서는 《영진총도 하》라는 표제아래 보병, 기병, 차병(포병), 수군 등 각 병종들의 전법을 33매의 그림으로 해설하였다. 제5권에는 평지와 성곽, 해상에서의 조련준비, 대렬행진, 전투동작, 경비감시, 대렬해산절차 등 여러가지 조련사항이 취급되고있다.